구글 애드센스를 승인을 받고 게시물이 쌓이다 보면 어느덧 10달러가 넘어가는 순간이 올 것입니다. 그러면 구글에서는 PIN번호를 부여하여 게시물을 올린 사람의 계정의 주소를 통해 우편을 발송하게 됩니다. 이렇게 소중한 계정 정보에서 주소를 작성하는 방법을 알려드릴 테니 참고하여 PIN번호를 못 받는 불상사를 피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주소의 중요성
PIN 인증번호를 받기 위해서는 주소를 정확하게 입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머나먼 미국에서 우편으로 우리가 게시한 글에 대한 대가를 받기 위한 PIN번호가 주소로 날아오기 때문입니다. PIN 인증(주소 확인)을 해야 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구글에서는 계정 보안을 위해 수익금을 지급하기 전에 주소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PIN번호를 인증해야 하는 시기는 수입이 10달러에 도달하게 되었을 경우 PIN 번호를 게시자의 주소로 보내게 됩니다. PIN번호가 도착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통상적으로 2~4주 이내로 수신됩니다. 2~4주 이내에 수신된다는 전제 조건은 정확한 주소를 작성하였을 때라고 고객센터에서 명시하고 있습니다.
2. 주소 작성 방법
위와 같이 주소의 중요성을 알았다면 주소입력에 대하여 매우 신중하게 하실 거라고 생각됩니다. 너무 부담가지시지 마시고 애인한테 편지 쓰실 때 넣는 주소를 기입한다 생각하시고 편안하게 하기 내용대로 따라 하시면 문제없을 것이라고 봅니다. 하기 사진을 보시면 도시, 시/군/구, 주소 입력란 1, 주소 입력란 2 이렇게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주소 입력란 1과 주소 입력란 2에 대하여 어떤 내용을 적어야 할지를 고민하실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주소 입력란 1에 도로명 주소를 넣고 주소 입력란 2에 동, 호수를 기입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 방법은 주소 입력란 1에 도로명, 빌딩, 동, 호수를 입력하고 주소 입력란 2를 빈칸으로 비워 두는 것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주소 입력란 1과 주소 입력란 2에 반복적인 주소를 기입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3. 특이사항(참고)
위와 같이 진행하시면 별 어려움이 없지만 간혹 신규 아파트나 신도시의 경우 자신이 거주한 지역에 대한 정보가 뜨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한 가지 예를 들어 세종시의 경우에 거주하는 곳의 조회가 되지 않는 것은 관리하는 동에 한꺼번에 묶여 있을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이럴 경우 지방자치단체의 웹사이트(세종시의 경우 웹사이트 링크)를 통하여 거주중인 지역이 다른 지역과 묶여 있는 것이 아닌지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위의 세종시의 경우에 관한 읍면동 일반현황을 보시면 새롬동의 경우 나성동과 2개의 법정동을 관할하는 동으로 묶여 있습니다. 이럴 때는 새롬동으로 표기하여 주시면 PIN 번호를 받는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